부동산 투자자, ‘렌트 소득 보다는 시세 차익에 중점’
대다수 부동산 투자자들은 렌트비에 의존하는 임대 소득보다는 주택을 매매하고 남은 차익 실현에 수익 초점을 두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택부 장관 Megan Woods가 정부의 부동산 규제책이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 예측 분석하기 위해 지난 12월 보고받고 최근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부동산 투자자 중 37%가 평균 $9000 달러의 손해를 보았다고 IRD에 신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임대 소득 손해는 보험, 유닛 타이틀의 관리비-body corporate fees, 주택 유지 보수비 등 세금 클레임에 적용되는 실제 지출이 렌트비 소득보다 컸기 때문이다. 즉 투자자의 약 30%가 한 해 동안 임대 부동산으로부터 소득이 전혀 없었다는 해석이 된다.
반면 투자자의 63%는 비용을 고려한 평균 수익이 $14,000 달러라고 신고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 투자용 부동산에 대한 정부의 규제책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새로 도입되는 투자용 부동산에 대한 규제책으로는 양도소득세 면제를 위한 임대 주택 최소 보유 기간(the bright-line period)을 10년으로 연장하고, 부동산 투자자들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이자 세금 클레임의 단계적 철회가 포함되어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향후 주택담보대출의 이자만 갚는 이자상환 대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렌트비 상승에 대한 정부의 규제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이에 대한 임대주들의 반응은 다음과 같을 것으로 예상된다.
– 렌트비로 인상을 통해 추가된 비용을 전가
– 임대용 주택을 매매
– 임대용 주택 보수 유지 수준을 낮춤으로써 주택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
정보경제 전문가 Brad Olsen씨는 “투자자들은 임대용 부동산에 들어가는 비용을 감당할 수 있을지에 대한 자가 분석은 물론 렌트 소득과 시세 차익에 대해 더 꼼꼼히 따질 것이다. 실질적으로 증가한 비용을 렌트비로 전부 충당하기는 힘들 것이다. 이미 테넌트들이 감당할 수 있는 렌트비 상승에 한계점이 온 데다가 높은 렌트비를 내기 위해 여럿이 주택을 공동 거주하는 비율도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 임대주들이 렌트비를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올린다면 테넌트들은 다른 방안을 찾을 것이다.”라면서 “상당히 높은 비율의 투자자들이 임대 소득으로 이익을 보고 있지 못한다는 것은 렌트 소득보다는 주택 매매로 인한 시세 차익에 투자자의 초점이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투자자들이 렌트비로 많은 소득을 얻기 위해 부동산을 매입한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다. 대부분 투자자들은 렌트비가 투자용 부동산을 매입하고 유지 보수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커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매매 차익을 실현할 타이밍을 기다린다.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건 침체하건 간에 부동산을 장기간 보유하면 결국에는 투자에 대한 시세 차익 실현을 보는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