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추진”… 백악관 공식 발표
Trump will pursu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 Korea: White House
U.S. President Donald Trump will pursue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 White House official said Tuesday, amid questions over whether Trump’s recent reference to the North as a “nuclear power” signaled any policy shift.
National Security Council spokesperson Brian Hughes made the remarks shortly after the North’s Korean Central News Agency (KCNA) reported that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visited a nuclear-material production base and a nuclear weapons institute in an apparent move to highlight its military capability.
“President Trump will pursue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just as he did in his first term,” Hughes said in response to a question from Yonhap News Agency.
“President Trump had a good relationship with Kim Jong-un, and his mix of toughness and diplomacy led to the first-ever leader-level commitment to complete denuclearization,” the official added.
Hughes appears to be referring to the agreement between Trump and Kim during their first summit in Singapore in 2018. Under it, the two sides agreed to work toward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etting new bilateral relations.
Earlier in the day, a U.S. government official said that there has been no change yet in the United States’ policy toward North Korea.
“There has not been any change of policy regarding the DPRK,” the official told Yonhap News Agency on condition of anonymity. DPRK is short for the North’s official name,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Last week, Trump referred to the North as a nuclear power — a term that U.S. officials have mostly refrained from using as it could be regarded as U.S. recognition of Pyongyang’s nuclear weapons. Defense Secretary Pete Hegseth also called the North a nuclear power during his confirmation hearing earlier this month.
Trump’s “nuclear power” label for the recalcitrant regime gave rise to speculation that should Trump reengage with Kim, he could seek a deal that would curb the North’s nuclear threats rather than pursuing the ultimate goal of the North’s complete denuclearization. Hughes’ remarks helped squelch that speculation.
In what could be a move to raise its leverage ahead of potential talks with the U.S., the KCNA reported that Kim visited the sites related to the North’s nuclear program, where the leader called for “overfulfilling the plan for producing weapons-grade nuclear materials and strengthening the country’s nuclear shield.”
During a recent Fox News interview, Trump said he will reach out to Kim again, portraying Kim a “smart guy” and “not a religious zealot” — an expression that apparently indicates that the dynastic ruler is someone he could communicate with again for a parley.
During his first term, Trump had three meetings with Kim — the first-ever summit in Singapore in June 2018, the Hanoi summit in February 2019 and the meeting in the inter-Korean border village of Panmunjom in June 2019. The U.S. and the North last held working-level nuclear talks in Stockholm in October 2019.
Some observers have said that Pyongyang’s appetite for reengagement with Washington might have dwindled as it now relies on Russia for food, fuel, security assurances and other forms of support after its provision of munitions and troops to back Moscow’s war in Ukraine.
트럼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추진”… 백악관 공식 발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백악관 관계자가 2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북한을 ‘핵 보유국’이라고 언급한 것과 관련하여 정책 변화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 브라이언 휴즈는 북한의 조선중앙통신(KCNA)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물질 생산기지와 핵무기 연구소를 방문했다고 보도한 직후 기자들에게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의 이 방문은 북한의 군사력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휴즈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처럼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진할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으며, 그의 강경한 자세와 외교적 접근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지도자 수준의 첫 번째 약속을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휴즈 대변인이 언급한 내용은 2018년 싱가포르 정상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합의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및 새로운 양국 관계 수립을 위한 노력에 관한 것이다.
백악관 관계자는 이날 이전에 “미국의 북한 정책에는 변동이 없다”고 언급했다. 익명을 요구한 이 고위 관계자는 “북한에 대한 정책에 변화가 없다”고 전했다. 북한의 공식 명칭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은 북한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됐다.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을 ‘핵 보유국’이라고 언급했으며, 이는 미국 당국자들이 주로 사용을 자제해온 표현이다. 이 표현은 북한의 핵무기를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피트 헥세스 미 국방장관도 이번 달 인준 청문회에서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핵 보유국’이라는 발언은 북한과의 재협상 시, 북한의 핵 위협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협상이 진행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하지만 휴즈 대변인의 발언은 이러한 추측을 불식시키는 역할을 했다.
한편, 북한의 조선중앙통신(KCNA)은 김정은 위원장이 핵 프로그램과 관련된 여러 시설을 방문하며 “무기급 핵물질 생산 계획을 초과 달성하고, 국가의 핵 방패를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북한이 향후 미국과의 잠재적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다시 접촉할 것이라고 밝히며, 김 위원장을 “똑똑한 사람”이자 “종교적 광신자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이는 김 위원장이 향후 협상에서 다시 대화할 수 있는 상대임을 시사하는 표현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동안 김정은과 세 차례 회담을 가졌다. 2018년 싱가포르에서의 첫 정상 회담, 2019년 2월 하노이 정상 회담, 그리고 2019년 6월 판문점에서의 만남이 그것이다. 이후 미국과 북한은 2019년 10월 스톡홀름에서 핵 문제에 대한 실무 협상을 진행한 바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이 현재 러시아와의 협력을 통해 식량, 연료, 안전 보장 등을 지원받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과의 재협상에 대한 의욕이 약해졌을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는 북한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원하며 러시아에 군수품과 병력을 제공하는 등 러시아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