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률 4년 만에 최고치… 경기 침체 여파로 5.1% 전망
Unemployment Rate Expected to Reach 5.1%, Highest in Four Years Amid Economic Downturn
‘Job Market Hit by Recession and Restructuring, Unemployment Rate Continues to Rise’
Recent economic data indicates that the unemployment rate is projected to reach 5.1%, the highest level in four years. This reflects the contraction of the job market, driven by the economic downturn, industry restructuring, and job losses.
Economists have pointed out that the recession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rise of the unemployment rate. Henry Russell, an economist at ANZ, stated, “The labor market is lagging behind as an indicator of broader economic slowdown,” adding, “While the economy is entering a recovery phase, the job market remains unstable.” In fact, it is estimated that around 30,000 jobs were lost in the second half of last year due to government restructuring and large-scale layoffs in the private sector. Additionally, job advertisements have decreased by more than 2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One factor that has somewhat limited the rise in the unemployment rate is the increase in people giving up on job hunting. Many individuals are choosing to return to school rather than continue their job search, which has slowed the rate of unemployment increase. Michael Gordon, chief economist at Westpac, noted, “Many young people entered the job market during the previous economic cycle, but now, with fewer job opportunities, they are opting for alternatives rather than continuing their job search.”
Furthermore, the decline in immigration and the slowdown in workforce growth have been identified as additional factors keeping the unemployment rate from rising further. The prevailing forecast is that the unemployment rate will reach 5.1%, lower than the previously predicted 5.5%.
Meanwhile, economic experts predict that the recovery of the job market will be slow. According to a recent survey by Westpac McDermott-Miller, while lower interest rates are expected to improve household spending and business activity, the job market remains uncertain.
Wage growth, which surged above 7% during the pandemic, has sharply slowed down. Mark Smith, chief economist at ASB, commented, “Many workers are prioritizing job stability, which has constrained wage growth.” He predicts that the annual wage growth rate will stabilize around 3%, and this trend may justify further rate cuts by the central bank.
Economic experts have expressed concerns that the ongoing slowdown in unemployment and wage growth may negatively impact the long-term economic recovery.
실업률 4년 만에 최고치… 경기 침체 여파로 5.1% 전망
‘경기 침체와 구조조정 여파로 고용시장 타격, 실업률 상승 지속’
최근 발표된 경제 지표에 따르면, 실업률이 4년 만에 최고치인 5.1%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경기 침체와 각종 산업의 구조조정, 그리고 일자리 감소 등의 여파로 일자리 시장이 위축되었음을 보여준다.
경제학자들은 경기 침체가 실업률 상승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하고 있다. ANZ의 헨리 러셀 경제학자는 “노동 시장은 경제 전반적인 둔화 속에서 뒤처진 지표로 나타나고 있다”며 “경기가 회복세에 접어들고 있지만, 고용 시장은 여전히 불안정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하반기에는 정부의 구조조정과 민간 기업의 대규모 정리해고로 인해 약 3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며, 구인 광고 수도 전년 대비 20% 이상 감소했다.
실업률 상승을 일부 제한하고 있는 요인으로는, 구직을 포기한 사람들의 증가가 지적된다. 많은 사람들이 구직 활동을 중단하고 학교로 돌아가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실업률 상승 속도를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Westpac의 수석 경제학자 마이클 고든은 “많은 젊은 사람들이 이전 고용주기 동안 노동 시장에 진입했으나, 현재는 일자리 기회가 줄어들면서 구직 대신 다른 선택을 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민자 수의 감소와 노동력 성장 둔화는 실업률을 제한하는 또 다른 요인으로 언급됐다. 이전에 예측되었던 5.5%보다 낮은 5.1% 수준에 실업률이 도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편, 경제 전문가들은 향후 고용 시장 회복이 더디게 진행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Westpac McDermott-Miller의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금리가 낮아지면서 가계 지출이 개선되고 비즈니스 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일자리 시장은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에 놓여있다.
임금 상승률은 팬데믹 기간 동안 급격히 오르며 7% 이상을 기록했지만, 현재는 급격히 둔화되고 있다. ASB의 수석 경제학자 마크 스미스는 “현재 많은 근로자들이 직장 안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임금 상승률에 제약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연간 임금 상승률이 약 3%에 머무를 것이라고 예측하며, 이러한 경향이 중앙은행이 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수 있는 배경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제 전문가들은 향후 실업률과 임금 상승률 둔화가 장기적으로 경기 회복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