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안전에 사활… ‘청정지역’ 뉴질랜드 택한 한국 식품기업
가축관리 제도·식품 안전 규정 엄격한 뉴질랜드
오뚜기, 쇠고기 원료 뉴질랜드에서 생산… 구제역·광우병 없어
‘청정지역’ 뉴질랜드산 녹용 쓰는 KGC인삼공사
![]() ▲ 오뚜기 뉴질랜드. ⓒ오뚜기
|
최근 식품 안전에 대한 국내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식품 안전 규정이 엄격한 ‘청정지역’ 뉴질랜드에서 원재료를 수급하는 업체가 주목받고 있다.
오뚜기 측은 “뉴질랜드는 국토의 30%가 임야지대이고, 50%이상이 농토로 이루어져 싱싱한 목초지, 오랜 일조시간, 온난한 겨울과 풍부한 강수량 등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한 축산업의 낙원이기 때문”이라며 “뉴질랜드의 쇠고기를 원료로 하여 오뚜기의 라면스프, 사골곰탕, 설렁탕, 꼬리곰탕, 갈비탕, 육개장 등 제품에 사용하는 사골엑기스와 비프엑기스를 제조하고 있으며, 3분류 등 오뚜기 제품에 뉴질랜드 쇠고기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고 설명했다.

▲ 천녹 시그니처. ⓒKGC인삼공사
식품이 있는데도 신고하지 않은 경우 부주의라도 과태료 400달러(약 46만원)을 즉석 부과한다. 고의성이 입증될 경우 최대 10만달러(1억1000만원) 또는 5년 이하의 징역형 처벌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