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습기와 곰팡이, 호흡기 질환으로 이어져
![]() |
주택의 습기와 곰팡이 문제가 없는 경우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입원의 1/5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국제 의학 저널인 Thorax에 실린 오타고 대학 논문은 집의 습기와 곰팡이가 어린이 급성 호흡기 감염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최대 규모의 사례 연구였다.
2011년과 2013년 겨울과 봄 사이에, 웰링턴에 있는 2개의 소아과 병동과 5개의 일반 병원을 조사했다.
집의 상태는 호흡기 질환 위험 지수를 사용하여, 주택이 얼마만큼 습하고 곰팡이에 노출되어 있는지를 평가했다.
이번 연구에는 입원이 필요했던 183명의 급성 호흡기 질환 어린이와 호흡기 질환으로 가정의를 만났지만 입원이 필요하지 않았던 454명의 대조군 환자를 연구했다.
여기에는 상부 호흡기 감염이 가장 흔하지만, 기관지염이나 폐렴과 같은 하부 호흡기 감염도 포함되어 있다.
그 결과 습기나 곰팡이에 노출된 집에 사는 아이들이 호흡기 질환을 앓게 될 위험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방, 단열, 또는 환기 시설로 집의 습도를 낮추면 두 살 미만의 유아가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하는 사례를 일 년에 19% 정도 줄일 수 있다고 수석 연구원 Tristram Ingham 박사는 말했다.
Ingham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아이들의 건강이 주택 환경과 분리될 수 없다고 밝히며, 정부는 호흡기 질환을 좀 더 심각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암, 심장병, 당뇨와 달리 호흡기 질환은 정부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하고 있다.
2015년, 웰링턴에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병원에 입원한 2세 미만 아동은 9,003명으로 전체 2세 미만 아동의 7.6%에 해당한다.
모든 주택에 습기와 곰팡이가 없다면, 연간 병원 비용으로 800만 달러를 절약할 수 있다고Ingham 박사는 말했다.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주택의 질 향상은 미래 비용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하며, 아동기의 호흡기 질환은 성인까지 좋지 않은 결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급성 호흡기 감염은 유아기 질병의 주요 원인이며, 5세 미만 어린이 환자 상담 비율의 50%를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