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터베리, 노동 인구 고갈
매년 새 노동 인구 1만 명 이상 필요
조사 결과, 크라이스트처치 인력난이 해결되기 위해서는 매년 최소 1만 명의 새로운 노동 인구 투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3월 이래로 닫힌 국경으로 해외로 부터 노동 인구 유입이 사실상 단절되면서 인력난 고갈이 극에 달한 셈이다.
코비드 19 국경 봉쇄가 인력 시장에 미친 영향을 연구한 링컨 대학(Lincoln University)의 David Dyason 박사는 보고서를 통해 코비드 19 제거 정책이 락다운 횟수와 기간을 조절하고 시민들이 국내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데 효과가 있었지만 해외 인력의 국내 유입을 크게 줄이는 부작용을 낳았다고 서술했다. 코비드 팬데믹 이후 노동력 부족 현상은 누적을 지속해 오다 캔터베리같은 해외 인력 의존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경기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캔터베리는 2011년 지진 이후 지역 재건 프로그램에 이민자가 큰 역할을 해 왔다. 2013년부터 2018년 사이 뉴질랜드의 다른 지역에서 캔터베리로 이주한 유입자 수는 무려 3288 명에 달한다. 동기간 해외에서 캔터베리로 이주한 유입자 수는 이보다 많은 42,192 명이다. 뉴질랜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이같은 인구 증가 추세는 계속되어서 2018년과 2020년 사이에는 해외 순 이민자 수가 지역 인구 증가의 80%를 차치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하지만 코비드 팬데믹을 기점으로 상황은 역전되었다. 코비드 이후 해외 노동 인구 유입은 거의 정체된 반면 은퇴 및 노동 시장 유출이 지속됨에 따라, 현재 부족한 노동 인구를 채우기 위해서는 매년 최소 약 만 명의 새로운 노동 인구 유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Dyason 박사는 “출생률이 갑자기 급등하여 자연 인구 증가가 폭발적으로 치솟지 않는 한, 통례적으로 캔터베리 지역은 이민자가 고용 수요를 충족하고 경기 활동을 도모해왔다. 특히 해외 노동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점을 감안하면 현 국경 제약은 장기적으로 지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현재의 인력 부족난이 임금 인상으로 이어지고 결국 인플레이션에 부담을 주고 있다. 국경 제약이 지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라면서 “사회 개발부 (the Ministry of Social Development)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구직 관련 수당을 받으며 직업을 구하고 있는 잠재 노동 인구는 전국적으로 112,056 명에 달하지만, 이 모든 사람들이 캔터베리로 가서 노동 인구 부족을 채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노동 인구가 고용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필요한 경력이나 기술 등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실업자 수가 고용 부족을 채울 수 있다는 보장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캔터베리를 비롯한 전국의 노동 인구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엄격한 국경 봉쇄 정책을 어느 정도 완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