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기후변화 난민’ 대비…전용비자 발급 논의
“2050년까지 세계 기후난민 최대 3억명 발생
새롭게 취임한 재신더 아던 뉴질랜드 총리가 ‘기후변화 난민’ 대책에 집중하고 있다.
아던 총리는 31일(현지시간) 취임 후 처음 가진 CNN 인터뷰에서 “우리는 기후변화에 따른 난민들을 맞을 선두에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던 총리는 “우리는 기후변화를 국제적으로 인정하고 대응하는 것의 중요성뿐 아니라 우리 임무를 다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며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감을 키울 방법과 향후 기후 변화 난민들에게 접근하는 방식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뉴질랜드가 최근 인근 투발루섬 출신 가족들의 난민 신청을 거부한 가운데 나왔다. 이들은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깨끗한 식수가 줄어들고,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망명을 신청했다.
그러나 뉴질랜드 정부는 이들이 국적·인종·종교·정치적 박해에 따른 위험에 처하지 않았다며 망명 신청을 거절했다. 1951년 유엔 난민 협정은 기후변화 희생자들을 난민에 포함하지 않아서다.
제임스 쇼 기후변화 장관도 이날 기후 변화 난민들을 위한 최초의 ‘비자 발급’을 언급하며 어젠더에 힘을 실었다. 그는 라디오 인터뷰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태평양에서 대피한 이들을 위한 새롭고 실험적이며 인도주의적인 비자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쇼 장관은 아던 총리가 이끄는 노동당과 연정을 꾸린 녹색당 소속이다. 녹색당은 지난달 총선에서 신규 비자 발급을 약속하고, 향후 6년간 연간 난민 수용 인원을 현행 1000명에서 5000명으로 늘리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미국이주감시센터에 따르면 2050년까지 기후 변화로 인해 보금자리를 잃는 이들의 수는 1억5000만~3억명에 달한다. 이와 관련해 비비엔 메이더본 유니셰프 뉴질랜드지부 국장은 “태평양 거주인들의 생명과 생계는 이미 위협받고 있으며 우리는 피할 수 없는 기후 변화 난민들의 대거 유입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태평양에 위치한 투발루의 모습. 투발루와 같은 도서국가는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에 즉각적인 영향을 받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