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부호 몰린 뉴질랜드…외국인 주택 구입 금지
뉴질랜드 정부가 외국인의 주택 구입을 금지하는 법안을 이달중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11일 보도했다. 외국인 ‘큰손’들이 뉴질랜드 내 부동산을 사들이면서, 비싼 집값을 감당 못해 길 위를 떠도는 자국민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뛰어난 치안과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뉴질랜드는 세계 부호들이 부동산을 사기 위해 몰려드는 곳이다. 특히 최근 몇년 간 중국인 부동산 투자자들은 뉴질랜드를 타깃 삼아 공격적인 투기를 벌여왔다. 집값은 폭등했고 정작 자국민이 집을 사지 못해 창고, 컨테이너 등에서 살게 되는 등 주택 문제가 이슈로 떠올랐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진행된 임대료 상승과 임금삭감, 공공주택 공급 축소, 낮은 은행 이자율과 꾸준한 이민 증가도 뉴질랜드 내 집값을 올리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지난 10년 동안 뉴질랜드의 부동산 가격은 57%나 폭등했다. 최대 도시인 오클랜드의 경우 상승폭은 97%에 달한다.
미국 예일대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뉴질랜드의 무주택자 비율은 선진국 중 가장 높다. 전체 인구(400만 명)의 1%에 가까운 4만여 명이 노숙을 하거나 열악한 시설에서 살고 있다. 그랜트 로브트슨 뉴질랜드 재무장관은 “적정 가격의 주택은 심각하게 적어진 반면, 토지와 건물 가격은 과도하게 올랐다”며 “뉴질랜드의 주택 시장은 완전히 붕괴됐다”고 법안의 취지를 설명했다.
뉴질랜드의 이같은 조치는 호주, 캐나다 등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는 국가를 위한 시범 케이스가 될 것이라고 파이낸셜타임즈는 분석했다.
뉴질랜드 정부는 이밖에도 적정 가격의 주택 10만 채를 공급하고, 무주택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 계획도 세우고 있다. 주택 가격 하락이 뉴질랜드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일부 전문가들의 지적에 대해 로버트슨 뉴질랜드 재무장관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경제는 부동산 투기를 바탕으로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