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TPP 조기 발효 결의한 뉴질랜드, ‘아시아 무역 주도권’ 노린다
뉴질랜드가 미국을 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조기 발효하는 방침에 일본과 함께 의견을 모으며 아시아 무역의 주도권을 노리고 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의 18일 보도에 따르면 일본을 방문 중인 빌 잉글리시 뉴질랜드 총리는 전날 총리 관저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함께 TPP 협정국 11개국에 따른 조기 발효를 추진하기로 의견을 함께했다. 이에 따라 뉴질랜드는 이달 21일 베트남에서 열리는 TPP 각료회의에서 일본과 함께 미국을 뺀 TPP 조기 발효를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뉴질랜드는 이미 TPP와 관련한 자국 내 절차를 마친 상태다.
뉴질랜드는 TPP를 발효하면 쇠고기와 유제품의 수출 경쟁력이 높아져 사업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TPP 조기 발효는 물론 양자 자유무역협정(FTA)과 아시아 국가들과의 무역 강화에 나서면서 자유 무역 확대 전략을 가속화, 아시아 무역을 주도권을 노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문은 뉴질랜드가 아시아·태평양의 무역 규칙 제정을 주도해 자국에 유리한 조건을 먼저 가져가기 위한 목적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질랜드는 이미 지난 3월 전체 물품 수출액 가운데 FTA 체결국과의 교역 규모를 현재의 53%에서 2030년까지 9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과의 협정 개정도 포함해 전체적으로 FTA를 강화하고 ‘무역입국’을 목표로 하는 전략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뉴질랜드가 TPP에만 주력하는 것은 아니다. 중국 주도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도 손을 뻗는다. TPP 발효를 위한 동반자인 일본이 RCEP를 견제하고는 있지만, TPP를 자국에서 비준한 국가가 현재 뉴질랜드와 일본 뿐이기 때문에 아직 상당수 회원국이 TPP의 실효성에 의문을 갖고 있는 점도 배제할 수 없다.
RCEP는 중국이 주도하는 것으로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10개국과 한국 등 총 16개국이 참여해 연내 타결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RCEP 조기 타결을 위해 지난달 26일 직접 뉴질랜드를 방문하기도 했다.
뉴질랜드는 주요 선진국 가운데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 및 해상 실크로드) 협력 문서에 가장 먼저 서명한 국가이기도 하다. 앞서 3월 중국과 쇠고기·양고기 등의 대중 수출을 확대하기도 합의했다. 4월에는 FTA 심화를 위한 협상도 시작했다.
베트남과의 협력도 강화한다. 현지매체 뉴질랜드 비즈니스스쿠프에 따르면 토드 맥클레이 뉴질랜드 무역장관은 베트남을 방문중이던 이달 9일 응웬 쑤언 푹 베트남 총리와 만나 무역 거래와 무역 관계 개선에 대해 논의했다. 맥클레이 장관은 회담 후 “우리는 향후 5년 안에 쌍방 무역 총액을 지금의 두 배인 25억달러(약 2조 8170억 원)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뉴질랜드와 일본 정상은 미국을 제외한 TPP 발효에 뜻을 모았으나, 미국의 복귀를 바란다는 입장도 밝혔다. 잉글리시 총리는 전날 닛케이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TPP로) 복귀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일본도 미국을 뺀 TPP 발효를 추진함으로서 미국이 돌아올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미국의 복귀가 쉽도록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