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uble whammy: Consumer prices surge, while income declines
한국인의 이중고: 소비자 물가는 상승, 소득은 감소
South Koreans are bearing the brunt of a double whammy ― soaring consumer prices and declining income. Simply put, they are increasingly worse off amid the resurgent COVID-19 pandemic and runaway housing prices.
한국인들은 치솟는 소비자 물가와 소득 감소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간단히 말해 코로나19 대유행의 재확산과 집값 폭등으로 그들의 생활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consumer prices surged 3.7 percent in November from a year earlier. The figure was up from a 3.2 percent jump recorded in October, and marked the steepest increase since December 2011. Rising prices of crude oil and farm products were to blame for the mounting inflationary pressure.
통계청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3.7% 올랐다. 이 수치는 10월에 기록된 3.2% 보다 증가한 것이며 2011년 12월 이후 가장 가파른 증가를 기록했다. 원유 및 농산물 가격 상승이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의 원인이었다.
More worrisome is a 5.2 percent surge in the cost of daily necessities ― 141 items, including food, clothing and housing, which directly affect people’s daily lives. Home prices also rose 1.9 percent, extending their upward march for 19 months in a row. All of this makes it more difficult for people, particularly low-income workers, to make ends meet. Many complain their purchasing power is on the decline due to the surging consumer prices.
더 걱정스러운 것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식품, 의류, 주택 등 141개 생필품의 가격이 5.2% 급등한 것이다. 집값도 1.9% 상승해 19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 모든 것은 사람들, 특히 저소득층 근로자들이 생계를 꾸려가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 많은 사람들은 치솟는 소비자 물가 때문에 그들의 구매력이 하락하고 있다고 불평한다.
No less serious is a fall in the country’s gross national income (GNI). According to the Bank of Korea (BOK), the inflation-adjusted GNI dropped 0.7 percent in the third quarter of the year from the previous quarter. This drop indicated that people’s real income shrank, and there are few signs that the situation will get better anytime soon.
이에 못지않게 심각한 것은 국민총소득(GNI)의 하락이다. 한국은행(BOK)에 따르면 물가상승률 조정 실질 GNI는 3분기에 전분기보다 0.7% 하락했다. 이 같은 하락은 국민의 실질소득이 위축됐음을 시사했고, 조만간 상황이 나아질 조짐도 거의 보이지 않는다.
Another piece of gloomy news is that households’ average consumption spending accounted for 67.4 percent of their disposable income in the third quarter, the lowest since the first quarter of 2006 when Statistics Korea began recording such data. This shows that people have tighten their purse strings because of growing rent, higher taxes, and heavier interest payments. Sliding consumption could lead to a vicious cycle of a fall in production and investment, causing an economic slump.
또 다른 암울한 소식은 3분기 가계 평균 소비지출이 가처분소득의 67.4%를 차지해 통계청이 이 자료를 기록하기 시작한 2006년 1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는 임대료 증가, 세금 인상, 이자 지급 증가로 인해 사람들이 지갑을 닫고 있음을 보여준다. 소비하락은 생산과 투자가 감소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져서 경기 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
The BOK left its 2021 economic growth projection at 4 percent last month when it raised its key policy interest rate by 0.25 percentage points to 1 percent. The rate hike, the second of its kind this year after the first one in August, was intended to tame inflation and runaway housing prices. The central bank has also hinted at additional hikes next year. Yet skepticism is growing over the effects of the increase as well as the economic outlook. Pessimists warn that the economic recovery might slow down in the face of the rapid spread of the new Omicron variant of COVID-19 and other downside risks such as global supply chains disruptions.
한국은행은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오른 1%로 인상하면서 2021년 경제성장 전망치를 4%로 유지했다. 올해 들어 8월 첫 번째 금리 인상 이후 두 번째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과 치솟는 주택 가격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중앙은행은 또한 내년에 추가 금리인상을 시사했다. 그러나 경제 전망뿐만 아니라 금리인상의 영향에 대해서도 회의론이 커지고 있다. 비관론자들은 코로나19의 새로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급속한 확산과 세계 공급망 붕괴와 같은 하방 위험에 직면하여 경제 회복이 둔화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As things stand now, there are growing fears of “slowflation,” a combination of slow growth and high inflation. President Moon Jae-in and his policymakers should have a sense of crisis as it now appears that bringing inflation under control and achieving economic recovery in a short period of time will be very difficult. They need to think outside the box to map out new policy options that can better cope with mounting global and domestic challenges and uncertainties. They must put their top priority on improving the people’s livelihood.
현재 상황에서 저성장과 고 인플레이션이 결합된 “슬로우플레이션”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다. 단기간에 물가상승을 억제하고 경기회복을 달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 지금 문재인 대통령과 그의 정책입안자들은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 그들은 증가하는 국내외의 도전과 불확실성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대안을 고안해 내기 위해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생각해야 한다. 그들은 민생을 향상시키는 데 최우선 순위를 두어야 한다.
KEY WORDS
■ double whammy 이중고
■ make ends meet 생계를 꾸리다
■ disposable income 가처분 소득
■ variant 변이 바이러스
■ cope with 대처하다
■ top priority 최우선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