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Economic Misery Index soars to highest level in 21 years
한국 경제고통지수, 21년 만에 최고
Amid steeply rising consumer prices, the Economic Misery Index, which estimates the economic hardship of households, has climbed to its highest level in 21 years. Economists say that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curbing food prices as much as it can as low-income households will suffer the most.
소비자물가가 급등하는 가운데 가계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늠하는 ‘경제고통지수(EMI)’가 21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경제학자들은 저소득 가구가 가장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만큼 정부가 식품 가격 억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According to data released by Rep. Kim Hoi-jae of the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of Korea, Monday, the Economic Misery Index, which adds inflation to the unemployment rate, stood at 8.4 in May, the highest May figure in 21 years.
20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실업률에 물가상승률을 더하는 경제고통지수는 8.4로 21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The index was created by economist Arthur Okun to gauge how much economic distress average households are in.
이 지수는 경제학자 아서 오쿤이 평균 가계가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한 지표다.
The high May index comes as consumer prices rose 5.4 percent, which is the steepest rise in 13 years and nine months, while the unemployment rate was at 3 percent.
5월 물가 상승률은 5.4%로 13년 9개월 만에 가장 가파른 높았고 실업률은 3.0%를 기록했다.
Joo Won, deputy director of the Economic Research Department at the Hyundai Research Institute, said low-income groups will not feel that job market conditions have improved either.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저소득층도 고용시장 상황이 나아졌다고 느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Though the unemployment rate has fallen, that only means that the number of jobless people decreased,” he said, stressing that the quality of the job matters more.
주원 연구실장은 “실업률은 떨어진 건 맞지만 이는 단순히 실업자 수가 줄었다는 의미”라며 일자리의 질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Quality jobs are still lacking and the self-employed sector has little room to create jobs. The job market’s conditions as perceived by people aren’t likely to have notably improved.”
“양질의 일자리는 여전히 부족하고 자영업 부문은 일자리를 창출할 여지가 거의 없다. 사람들이 인식하는 고용 시장의 조건은 눈에 띄게 개선되지 않을 것 같다.”
Joo pointed out that the high level of the economic misery index will make low-income households suffer more than the middle class because their real purchasing power decreases at times when food prices soar.
주원 연구실장은 경기고통지수가 높으면 식량가격이 치솟는 시기에 실질구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중산층보다 저소득가구가 더 큰 고통을 받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KEY WORDS
■ curb 억제[제한]하다
■ figure (공식적인 자료로 제시되는) 수치
■ gauge 측정하다
■ distress (정신적) 고통, 곤경
■ sector 부문[분야]
■ notably 현저히, 뚜렷이
■ index (물가 등의) 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