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관세 전쟁, 뉴질랜드 경제에 금리 상승 압박
Tariff war sparks interest rate warning
While US President Donald Trump is predicted to be unlikely to impose tariffs on New Zealand’s export goods, economic experts are warning that the ongoing trade conflict could have a tangible impact on New Zealanders. Specifically, it is believed that US trade policies could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untry’s interest rates.
Trump has already imposed tariffs on major trading partners such as Mexico, Canada, and China, raising concerns about potential unintended consequences for New Zealand’s economy. Economists are emphasizing that US interest rates are unlikely to decrease rapidly, which could indirectly or directly affect New Zealand’s interest rates.
Craig Renney, an economic expert, has warned that despite expectations that the Reserve Bank of New Zealand (RBNZ) may cut interest rates once more, US tariff policies could negatively affect this plan. “The pressure of rising inflation in the US suggests that rates may not decrease as quickly as expected, and as a result, New Zealand’s loan interest rates may remain higher than anticipated,” Renney explained.
Even though the central bank may lower its official cash rate (OCR), New Zealand’s loan interest rates could still stay elevated, which could become a heavy burden for those seeking home loans. Experts suggest that despite efforts by the central bank to reduce interest rates, the cost of borrowing remains a challenge for New Zealand consumers.
Kelly Eckhold, chief economist at Westpac, concurs with the view that the difference between US and New Zealand interest rates could significantly impact the country’s economy. He suggests that rising inflation in the US could influence global markets, forcing New Zealand to endure higher interest rates. He also raised concerns that the long-term effects of US tariffs could put additional pressure on global interest rates.
Additionally, the strong US dollar and the weak New Zealand dollar are expected to have a profound impact on exchange rates, potentially delivering a strong shock to New Zealand’s economy. As time passes, pressure on exchange rates is likely to increase. While New Zealand’s exporters may see some benefits, the nation’s dependency on imports could heighten inflation risks, experts warn.
Gareth Kiernan, an economist at Infometrics, noted that the US’s high inflation could have a global ripple effect. “Prices for products imported from North America may rise, but globally, as demand slows, prices for goods imported from other countries may decrease,” he explained.
He also pointed out that predicting global economic trends with certainty is difficult until late 2025, but by 2026, a slowdown in global economic growth is likely to impact New Zealand’s exports and result in subdued economic growth.
Experts emphasize that if the global economic slowdown continues through 2026, New Zealand’s economic growth will likely remain low. They stress the importance of policy adjustments and the central bank’s response to mitigate the impact on the country’s economy.
미국의 관세 전쟁, 뉴질랜드 경제에 금리 상승 압박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뉴질랜드의 수출품에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낮다고 예측되지만, 경제 전문가들은 이러한 무역 갈등이 뉴질랜드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무역 정책이 뉴질랜드의 금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 캐나다, 중국 등 주요 국가들에 대한 무역 관세를 부과했으며, 이로 인해 뉴질랜드 경제에 예상치 못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제기됐다. 경제학자들은 미국의 금리가 빠르게 내리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는 뉴질랜드의 금리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크레이그 레니(Craig Renney) 경제 전문가는 뉴질랜드 중앙은행(RBNZ)이 금리를 한 차례 더 내릴 것이라는 예상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관세 정책이 이 계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인해 금리가 빠르게 내려가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고, 그로 인해 뉴질랜드의 대출 금리가 예상보다 높은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뉴질랜드의 대출 금리는 중앙은행의 공식 금리(OCF)가 내려가더라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주택 대출을 고려하는 시민들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출 금리는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켈리 에크홀드(Kelly Eckhold) Westpac 수석 경제학자도 미국의 금리 변화와 뉴질랜드 금리 간의 차이가 뉴질랜드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동의했다. 그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쳐, 뉴질랜드가 높은 금리를 견디며 무역 관세로 인한 영향이 장기적인 금리에 부담을 줄 가능성을 제기했다.
또한, 미국 달러의 강세와 뉴질랜드 달러의 약세가 환율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뉴질랜드 경제에 강력한 충격을 줄 것으로 예측됐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환율에 대한 압박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이며, 뉴질랜드 수출업자들에게는 다소 긍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지만, 수입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에서는 인플레이션을 가중시킬 위험이 크다는 분석이다.
가레스 키어넌(Gareth Kiernan) 인포메트릭스 경제학자는 미국의 높은 인플레이션이 전 세계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했다. 그는 “북미에서 수입하는 제품의 가격은 상승할 가능성이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다른 나라에서 수입되는 제품들의 가격은 내려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2025년 후반기까지는 세계 경제의 전반적인 흐름을 예측하기 어렵다고 덧붙이며, 2026년에는 세계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고 이로 인해 뉴질랜드의 수출이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2026년까지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가 지속되면 뉴질랜드의 경제 성장도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뉴질랜드의 정책 변화와 중앙은행의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