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영국, 아일랜드, 독일…
노동시장 개혁에 성공한 네 나라가 주는 교훈
세계는 앞 다퉈 노동시장을 개혁해 가는데도 문재인 대통령은 노동시장을 경직시키고만 있다. 민노총의 ‘대선 청구서’ 때문일까? 극심한 기업규제, 법인세율 인상, 경직된 노동시장 때문에 기업이 활동이 위축되고, 해외로 이전하게 된다면 일자리는 어떻게 만들 것인가! 노동시장 개혁에 성공한 네 나라, 그리고 한국을 이야기한다.
•정규직 고용보호: 약하기로 OECD 3위.
•실업률: 4.4%로 낮기로 OECD 9위.
•고용률: 74.2%로 높기로 OECD 8위.
•노조조직률: 1979년 50.7%에서 25.1%로 감소.
• 노동시장이 유연하기로 미국에 이어 2위.
•정규직 고용보호: 약하기로 OECD 5위.
•실업률: 4.8%로 낮기로 OECD 13위.
•고용률: 76.3%로 높기로 OECD 4위.
•노조조직률: 1980년 69.1%에서 18.7%로 감소.
• 노동시장이 유연하기로 미국, 영국에 이어 3위.
•정규직 고용보호: 약하기로 OECD 6위.
•실업률: 6.2%로 낮기로 OECD 22위.
•고용률: 65.9%로 낮기로 OECD 10위.
•노조조직률: 1987년 50.2%에서 27.4%로 감소.
• 노동시장이 유연하기로 미국, 영국 등에 이어 6위.
• 1인당 국민소득이 1990년 1만 달러대에서 17년 후인 2007년 5만 달러대로 증가.
•정규직 고용보호: 심하기로 OECD 5위. (독일은 정규직 고용보호가 매우 심한 나라).
•실업률: 슈뢰더가 퇴임한 2005년 11.3%에서 2017년 3.6%로 감소.
•고용률: 75.1%로 높기로 OECD 7위.
•노조조직률: 18.1%.
여기에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공약부터 정책 추진까지 노동시장 규제만 강화해 오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박근혜 정부가 어렵사리 도입한 ‘저성과자 해고, 취업규칙 변경’을 백지화했고, 최저임금 대폭 인상, 비정규직 제로 추진, 공공부문 인원과 공무원 증원 등 반시장적·기업규제적 노동시장 정책만 도입해 오고 있다. 게다가 문재인 대통령은 민노총에 발목이 잡혀 운신 폭이 무척 좁아 보인다. 이런 상태가 지속된다면 기업 활동이 위축되어 한국기업은 해외로 엑소더스를 이어갈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경제 회생을 위해서는 당장 노동시장 개혁부터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