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자국 방문하려는 北학자들에 비자 발급 거부”
RFA 보도, “대북제재로 국제사회서 북한 입지 좁아져”
뉴질랜드 정부가 최근 국제학술대회 참석차 자국을 방문하려는 북한 학자들에 대한 비자 발급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5일 워싱턴포스트를 인용, 뉴질랜드 정부가 북한의 역사학자와 언어학자, 철학자 등 10명의 입국신청을 지난달 28일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일각에선 북한을 고립시키려는 미국 노력의 영향이라고 분석했지만, 이번 뉴질랜드 정부의 비자 발급 거부는 유엔의 대북제재를 이행하기 위한 조치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학술회의는 뉴질랜드의 오크랜드 대학에서 일본의 국제사회한국연구소 주최로 2년에 한번씩 열리는 행사다.
미국과 한국, 중국 등지에서 130여명의 학자가 모이며 지난 2015년 유럽 오스트리아 학술회의 때는 북한에서 12명의 학자들이 참석한 바 있다.
RFA는 “대북제재로 인한 비자발급 거부 등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는 가운데 오는 7일 필리핀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도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이 리용호 외무상과 만나지 않겠다고 말해 대북 압박이 더욱 커질 전망”이라고 전했다.
뉴질랜드가 북한 학자들에 대한 입국비자를 거부했다.
뉴질랜드 헤럴드지에 따르면 이번 주 오클랜드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에 북한의 학자들이 참가하려했지만 입국 비자를 거부당했다.
뉴질랜드 헤럴드지는 북한 선수단의 학술대회 참가가 거부된 것에 대해 북한을 고립시키려는 미국 주도 노력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제고려학회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한국학 관련 단체로 이번 학술대회에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중국, 유럽 등지에서 총 130여 명의 학자들이 참가한 국제대회로 열렸다.
뉴질랜드 헤럴드는 입국이 거부된 북한 학자들의 전공분야를 보면 민속학, 철학, 고전 문학, 역사, 교육 등 인문학 분야로 북한 대표단이 외국으로 나갈 때 흔히 그렇듯 2명의 ‘감시원’도 동행할 예정이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같은 순수한 학술대회 참가임에도 불구하고 전후 사정을 잘 아는 일부 인사들에 따르면 뉴질랜드 정부는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안을 준수한다는 차원에서 이들이 신청한 비자를 지난달 28일 거부했다.
한 인사는 익명을 전제로 북한 참가가 거부된 것에 대해 “UN 제재안 때문에 그렇게 됐다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UN은 북한의 김정은 정권이 핵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을 폐기하라는 국제사회의 요구를 계속 거부함에 따라 자금과 물자공급의 물꼬를 틀어막아 북한의 부품 구매 능력을 무력화시키려고 제재를 가하고 있다.
또 미국은 무기개발 계획에 자금을 대는 등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개인이나 회사들을 블랙리스트에 올려
보다 더 강력한 일방적인 제재안을 들고나와 북한을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주장들이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뉴질랜드 외교부는 미국이나 UN의 제재안 어느 것도 인문학 학자들을 겨냥하지는 않고 있다며 북한 참가가 거부된 것과 관련해서는 이민국에 물어보라며 언급을 거부하고 있다.
이에 대해 뉴질랜드 이민국의 한 대변인은 북한이 신청한 비자들이 거부된 이유에 대해서 이민국 업무와 관련한 훈령에 부합하지 않아서라며 하지만 사생활 보호와 법적인 이유로 더는 언급할 수 없다고 밝혔다.
뉴질랜드 정부는 과거에도 북한인의 입국 비자를 거부한 적이 있지만 지난해(2016년)는 3명의 북한의 영문학 교수가 뉴질랜드의 한 대학을 방문했고 지난 3월 오클랜드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안보협력이사회 회의에도 북한인 2명이 참석해 최근에는 북한의 뉴질랜드 주최 각종 행사 참가는 정상적으로 이뤄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