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롤모델’ 뉴질랜드 여성부 직원은 30명
예산은 41억이지만 효과적인 운영…’최초 여성참정권’ 뉴질랜드 성별 임금격차 7.2%
강남역 살인사건, 미투운동은 우리 사회에 커다란 질문을 던졌다. ‘이 사회가 바라고 또 실현할 수 있는 성평등은 무엇이냐’는 것이다. 여성의 사회참여를 확대하고 성평등 사회을 구현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거센 비판으로 ‘동네북’이 되기도 한다. 3월 8일은 세계 여성의 날이다. 여성부의 과거와 현재를 돌아보고 바람직한 역할을 다시 고민할 때다.
여성부는 한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전 세계에서 27개국이 여성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뉴질랜드는 해외 여성부의 사례로 한국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곳으로, 다른 국가처럼 가족·청소년 등 여러 분야의 정책을 다루기보다는 여성의 권리를 신장시키는 일에 집중한다.
뉴질랜드 여성부는 ‘여성부가 필요 없어질 때까지 여성 권리를 신장시킨다’는 목표로 1984년에 설립됐다. 현재 공식 명칭은 “여성을 위한 부”(Ministry for Women)다. 지난 2014년 부서의 업무를 더 현대적으로 표현하겠다며 기존 여성부(Ministry of Women’s Affairs)에서 바꾸었다.
한국의 ‘여성가족부,’ 인도의 ‘여성아동개발부,’ 독일의 ‘가족·노인·여성·청소년부’ 등 다른 국가와 달리 이름대로 여성 관련한 정책만 다룬다. 여성의 재정적 독립 확보, 여성 임원진 비율 증가, 가정 폭력 및 성폭력 근절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성들에게 더 여건이 좋은 직장을 찾도록 장려하고, 경력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육아 시스템을 보완하며, 직장 성추행 기록부 도입을 의무화하는 등 관련 정책을 추진 중이다.
여성부는 뉴질랜드 정부의 핵심부서 중 하나지만 총원은 그 중 가장 적은 30명(2017년 기준)에 불과하다. 연간 예산은 지난해 544만 뉴질랜드 달러(약 41억 3580만원)였다.
그러나 뉴질랜드 여성부는 제한된 자원으로도 큰 효과를 보고 있다. 1998년 뉴질랜드의 성별 임금 격차는 16.3%에 달했지만, 지난 2017년에는 7.2%로 줄었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3.4%)보다 낮은 수치로, 뉴질랜드는 전 세계에서 격차가 적은 국가 7위를 기록했다. 반면 한국은 당시 34.6%로 꼴찌를 차지했다.
여성의 정치 참여도 높은 편이다. 지난 2017년 뉴질랜드 총선에서는 여성 의원 49명이 의회에 입성하면서 전체(120명) 중 41%를 차지했다. 저신다 아던 현 뉴질랜드 총리는 뉴질랜드의 세 번째 여성 총리이기도 하다.
한편, 뉴질랜드는 지난 1893년 세계 최초로 여성에게 참정권을 부여한 국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