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대북정책 오클랜드 교민 간담회 열려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 현황 등을 설명하는 통일부 주관 교민간담회가 24일 오클랜드에서 열렸다.
이날 오후 시내 한 음식점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김기혁 남북회담본부 회담운영부장 등 통일부 관계자 4명과 안기종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뉴질랜드 협의회 회장, 박세태 오클랜드 한인회장 등 교민 20여명이 참석했다.
김 부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한동향, 남북관계 현황 등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교민들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했다.
김 부장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7월 베를린 구상과 광복절 축사 등을 통해 천명한 대북정책의 기본방향이 핵과 전쟁위협이 없는 한반도, 남북이 상호 존중하고 공동 번영하는 한반도라며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을 절대 용납하지 않고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구축과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북한의 도발에는 한미동맹과 자체 국방력으로 단호히 대응해날 것이라며 “우리의 주도적 역할과 국제사회의 협력, 제재와 대화 병행 등 포괄적 접근을 통해 북핵 문제의 단계적 해결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민간 차원의 교류협력과 이산가족, 인도적 지원 등 인도적 사안은 정치 군사적 상황과 분리해 일관되게 추진할 것이라며 개성공단재개 문제도 큰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와 관련, “북한이 내부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며 대북 제재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런 판단의 근거로 김정은이 최근 경공업과 농업을 강조하며 생필품과 트랙터 공장 등을 현지 지도하며 이른바 ‘애민 행보’를 보이는 것 등을 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남북교류 현황에 대해 새 정부 출범 직후부터 지난 달 중순까지 민간교류 접촉신고 131건을 수리했다며 그러나 북한은 정부의 대북제재 참여, 한미연합훈련 등을 이유로 민간교류에도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평화 정착과 통일에 대한 공감대 확산과 대북정책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정부, 여야, 시민단체 등이 참여해 도출한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통일국민협약’을 추진하고 재외동포와의 소통 기회도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